1. 정적 컨텐츠
2. MVC와 템플릿 엔진
3. API
<정적 컨텐츠>
html 문서를 WAS에 올려 화면에 뿌려준다.

<MVC와 템플릿 엔진>
1. Controller를 거쳐 요청을 받으면
2. Controller가 Model에 데이터를 넘겨주고
3. viewResolver를 호출해 View를 보여준다.

<API>
Controller에 @ResponseBody 애노테이션을 사용하면 viewResolver를 사용하지 않는다.
대신 HTTP의 BODY에 문자 내용을 직접 반환한다.

@ResponseBody를 사용하면,
viewResolver 대신 HttpMessageConverter가 동작한다.
* 기본 문자 처리: StringHttpMessageConverter
* 기본 객체 처리: MappingJackson2HttpMessageConverter
'공부 > Spring' 카테고리의 다른 글
| [스프링 핵심](1) 회원, 주문과 할인 예제 (0) | 2024.01.06 |
|---|---|
| [스프링 입문](5) AOP (0) | 2024.01.06 |
| [스프링 입문](4) 회원 관리 예제를 통한 웹 MVC 개발 2 (1) | 2024.01.06 |
| [스프링 입문](3) 스프링 빈과 의존관계 (0) | 2024.01.06 |
| [스프링 입문](2) 회원 관리 예제를 통한 MVC 학습 (1) | 2024.01.06 |